ETFNow

급등한 코스피 대처법: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498400)

2025.06.11
(PNG파일)삼성 Kodex ETFNow.png

01 . 이번주 HOT 종목: 한국(코스피)

코스피는 대선 이후 6개월간 지속됐던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 IB가 단일 정부 출범으로 정책 추진력 확대가 전망되며 한국에 대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하자, 코스피의 저가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PER(9.59배, 6/9), 12개월 선행 PBR(0.89배, 6/9)가 밸류에이션 정상화로 10배(2,980p)와 1배(3,210p)까지만 상승해도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았다는 평가다[그림 1].

그림1.png

5월 한 달간 코스피는 증권(+21.1%), 건설(+18.5%), 전기가스(+17.2%) 등 상승에 힘입어 5.5% 상승했다[그림 2]. 해당 업종들은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세웠던 공약의 수혜가 예상됐던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는 특징이 있다. 대선(6/3) 종료 후에도 관련 업종들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데, 거대 여당 출범으로 정책 추진력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그림2.png

02 . 외국인 수급 개선 + 이익 개선(수출 회복 + 경기 반등) = 코스피 호재 多

외국인은 연초 이후 5월 말까지 코스피를 (-)15.6조 원 순매도한 바 있는데, 글로벌 IB의 한국에 대한 투자 의견 상향과 하반기 내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 기대감으로 6월 들어 4.7조 원 순매수로 전환하면서 코스피의 외국인 지분율은 반등 중이다(6/2~10, Quantiwise)[그림 3]. 코스피는 외국인 영향력이 큰 증시인 만큼, 외국인 수급 환경 개선은 코스피 매력도를 높이는 유인이다.

그림3.png

한편, 국내 경기는 1분기 GDP가 전기 대비 (-) 0.2% 역성장 할 정도로 부진한 실정이다. 반면, 조업 일을 고려한 5월 일평균 수출은 전년비 +1.0% 증가한 26.6억 달러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수출과 내수의 점진적 회복이 예상됨에 따라, 코스피 이익 개선도 시차를 두고 다소 느리게 진행될 공산이 크다. 이에, 단기적 관점에서는 코스피의 추가 급등보다 숨고르기 이후 완만한 상승을 기본 가정으로 상정하는 게 타당하다[그림 4].

그림4.png

03 . 신정부 정책 수혜 Kodex ETF는?

그림5.png

04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494800)알아보기!

그림6.png

※ 합성총보수ㆍ비용 및 총보수는 기준가격에 따라 매일 일할 계산하여 반영되며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및 ETF 거래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총보수 연 0.39%(운용 0.359%, AP 0.001%, 신탁 0.02%, 사무 0.01%), 위험등급: 1등급(매우 높은 위험)

* Kodex 금융고배당TOP1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총보수 연 0.39%(운용 0.359%, AP 0.001%, 신탁 0.02%, 사무 0.01%), 위험등급: 1등급(매우 높은 위험)

* Kodex AI전력핵심설비: 총보수 연 0.39%(운용 0.359%, AP 0.001%, 신탁 0.02%, 사무 0.01%), 위험등급: 2등급(높은 위험)

컴플.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