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Now

AI 시대에 지속될 전력난의 수혜주: GE 버노바(GE Vernova)

2025.04.30
(PNG파일)삼성 Kodex ETFNow.png

01 . 이번주 HOT 종목: GE 버노바

지난주 미국 증시는 미중 관세 갈등이 최악의 국면은 통과했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S&P 500 +4.6%, 나스닥 +6.7%, 4/21~25, Bloomberg 기준). 한편, 4월 말 예정된 빅테크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아마존과 엔비디아 관련 인사들이 AI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발언하면서 AI 전력 인프라 테마가 큰 폭으로 상승한 점도 눈에 띈다[그림 1].

그림1.png

AI 전력 인프라 테마 급등에는 GE 버노바가 호실적을 기록한 영향도 크다. GE 버노바 ’25년 1분기 실적은 예상을 상회했는데, 관세 영향을 반영하고도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360~370억 달러로 유지한 점이 투자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딥시크 출현 이후 낮아진 밸류에이션(12개월 선행 PER) 매력이 지수 반등 과정에서 더욱 부각된 것으로 확인된다[그림 2].

그림2.png

02 . 왜 GE 버노바인가? 폭팔하는 전력 수요 + 높은 국내 매출

최근 ChatGPT의 지브리 풍 이미지 생성 기능이 인기를 얻으면서 ChatGPT 사용이 폭증하자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전력 소비 급증을 ‘GPU가 녹아내린다'고 우회적으로 표현했다. 지브리 열풍은 AI 활용의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AI 에이전트의 시대 도래로 전력 수요는 향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주 아마존 관계자가 CAPEX 투자 계획이 크게 바뀌지 않았다고 언급한 게 AI 테마 반등의 기폭제가 됐는데, 이번 주 빅테크 실적 발표에서 CAPEX 투자 축소 우려가 해소된다면 신규 수주 기대감까지 더해질 수 있다[그림 3].

그림3.png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3~4주 안에 모든 협상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면서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이 형성됐으나, 중국이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으면서 관세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공산이 크다. 폭증하는 AI 수요에 따른 전력 과수요 수혜를 입으면서 자국 매출 비중이 높아 관세 영향이 적은 AI전력 인프라 테마 접근이 유리한 시점이라 판단한다[그림 4].

그림4.png

03 . GE Vernova를 가장 많이 담은 Kodex ETF는?

그림5.png

04 .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487230)알아보기!

그림6.png

※ 합성총보수ㆍ비용 및 총보수는 기준가격에 따라 매일 일할 계산하여 반영되며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 및 ETF 거래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 총보수 연 0.450% (운용 0.419%, AP 0.001%, 신탁 0.020%, 사무 0.010%),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 Kodex 미국메타버스나스닥액티브 : 합성총보수 연 0.6044%,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4853% 발생, 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 Kodex 미국S&P500액티브 : 총보수 연 0.450% (운용 0.419%, AP 0.001%, 신탁 0.020%, 사무 0.010%),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컴플.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