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Now

AI발 고성장이 기대되는 중국 테크주에 올라타자: 알리바바(Alibaba)

2025.03.11
(PNG파일)삼성 Kodex ETFNow.png

01 . 이번주 HOT 종목: 알리바바

지난 1월 말 중국산 저비용 고성능 AI모델 DeepSeek-R1이 미국산 고비용 고성능 AI모델에 비견할만한 성능을 구현한데 이어, 지난 5일에는 중국 스타트업 모니카가 공개한 AI 에이전트 마누스(Manus)가 오픈AI를 능가하는 성능을 입증해냈다. DeepSeek의 등장 이후 중국 AI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중국 기술주에 대한 재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중국 기술주로 구성된 항셍테크는 글로벌 증시 중에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그림 1]. 시가총액 상위 중 연초 대비 63.2% 급등한 알리바바가 눈에 띈다(3/10 기준).

그림(수정1).png

특히, 창업자 마윈이 중국 정부 주도의 민간기업 좌담회를 참석한 게 주가 상승에 기폭제가 됐다. 지난 2월 17일 시진핑 주석은 7년여만에 빅테크 대표들이 대거 참석한 민영기업 좌담회에 참석해 “선부(先富)가 공동부유(共同富裕)를 촉진하길 바란다”라며, 민간기업 주도의 AI기술 패권 확보와 생산성 향상을 독려했다. 알리바바는 창업자 마윈이 중국 당국을 비판해 공식 석상에서 퇴출됐던 시점부터(‘20년 10월) 줄곧 하락했는데, 이번 민간기업 좌담회를 계기로 정부 규제가 완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알리바바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그림7 (1).png

02 . 왜 알리바바 인가? 중국 국가대표 AI기업

지난 2월 24일 알리바바는 민간 좌담회 초청에 응답하기라도 하듯 향후 3년간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3,800억 위안(약 52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알리바바가 지난 10년간 투자한 금액보다 많은 규모로 원화로는 75조 원 규모다[그림 3].

지난 1월 말 공개된 미국 대규모 AI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의 초기 투자비가 1,000억 달러였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 알리바바의 투자 결정은 매우 큰 규모다. 알리바바는 자체 AI모델 Qwen 시리즈를 운영 중인데, 이미 딥시크 이상의 생성형 AI 기술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번 대규모 투자를 계기로 알리바바가 글로벌 AI 산업에서 선두 지위를 확보할 것이란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이유다.

ETFNow_250311_3.png

2025 양회에서 시장 예상을 능가할 만한 경기부양책은 공개되지 않았다. 반면, <AI+> 전략을 강조하면서 경기 부양보다 혁신을 통해 경기 부진을 타개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포부를 엿볼 수 있었다. 휴머노이드 로봇, AI스마트폰/PC 등 신기술 선점을 위해 중국 정부가 AI 산업을 대폭 지원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올해 예정된 15차 5개년 발전 계획(2026년~2030년)에서 AI 산업에 대한 구체적인 중장기적 지원 방안이 공개될 예정이다. 테크 기업들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원 기조는 테크주들에 대한 유의미한 주가 상승 모멘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그림 4].

ETFNow_250311_4.png

03 . Alibaba를 가장 많이 담은 Kodex ETF는?

ETFNow_250311_그래프.png

※ 자료: 2025년 3월 10일 기준, 삼성자산운용

04 . Kodex 차이나항셍테크(372330) 알아보기!

ETFNow_차이나항생테크알아보기png.png

※ 합성총보수ㆍ비용 및 총보수는 기준가격에 따라 매일 일할 계산하여 반영되며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odex 차이나H : 합성총보수 연 0.27%,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1796% 발생, 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 Kodex 차이나항셍테크 : 합성총보수 연 0.2266%,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1923% 발생, 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 Kodex 차이나메타버스액티브 : 합성총보수 연 0.6405%,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0848% 발생,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컴플.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