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Now

떨어질 때 다시 보자: 테슬라(Tesla)

2025.04.02
(PNG파일)삼성 Kodex ETFNow.png

01 . 이번주 HOT 종목: 테슬라

서학개미 보관 금액 1위(181억 달러, 약 27조 원) 종목인 테슬라는 연초 이후 30% 넘게 하락했다 (3월 27일, 예탁결제원 기준).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추가 매집에 나서면서 테슬라는 연초 이후 서학개미 순매수 1위(23.2억 달러, 약 3.4조 원) 종목으로도 이름을 올렸다(3월 27일, 예탁결제원 기준). 테슬라가 연초 이후 처음으로 2주 연속 상승하고, 지난주 M7 중 유일하게 (+)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추세적 반등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3/24~28: S&P 500 -1.5%, M7 -2.9%, 테슬라 +6.0%)[그림 1].

그림1.png

최근 테슬라 주가 하락에는 2월 유럽 판매량이 전년비 42.6% 급감하는 등 전기차 판매 부진 영향이 크다. 중국 대표 전기차 업체 BYD의 약진도 부담이다. BYD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은 178만대로 테슬라의 연간 판매량 179만 대를 거의 따라잡은 상태다.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반감으로 테슬라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점도 주가 하락을 자극하고 있다[그림 2].

그림2.png

02 . 왜 테슬라인가? 6월 로보택시 출시로 되살아날 수 있는 상승 모멘텀

과거 테슬라 주가는 전기차 판매량 증가, 완전자율주행(FSD) 등 신성장 동력 기대감이 형성되는 구간에서 리레이팅이 진행됐다. 오는 6월 출시되는 비감독 완전자율주행(FSD) 출시 및 로보택시(Robo-taxi) 상용화가 테슬라 주가에 새로운 상승 모멘텀을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테슬라가 영위하고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휴머노이드, 통신 네트워크 등 상승 촉매는 제공할 수 있는 신기술 관련 익스포져가 증가 중인 점도 긍정적이다.

그림3.png

지난 26일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해 25% 영구적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테슬라는 미국 판매용을 모두 미국에서 제조해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그림 4]. 한편, 모델 Y 부분변경 모델 주니퍼(Juniper)가 중국(2월 말), 미국/유럽(3월 말)에서 인도되기 시작했는데, 3~4월 판매량 개선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하다. 추가 조정 시 분할 매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림4.png

03 . Tesla를 가장 많이 담은 Kodex ETF는?

그림5.png

※ 자료: 2025년 3월 28일 기준, 삼성자산운용

04 .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475080) 알아보기!

그림6(수정).png

※ 월분배금은 분배금 재원 내에서 분배 예정입니다. 상기 전략은 향후 변동될 수 있으며, 매월 분배 수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합성총보수ㆍ비용 및 총보수는 기준가격에 따라 매일 일할 계산하여 반영되며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odex 테슬라커버드콜채권혼합액티브: 합성총보수 연 0.4788%,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2479% 발생, 위험등급: 3등급 (다소 높은 위험)

* Kodex 미국서학개미 : 합성총보수 연 0.4071%,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6882% 발생,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 Kodex 테슬라밸류체인FactSet : 합성총보수 연 0.3414%,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2543% 발생,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컴플.png

관련 상품 추천

상품명 클릭시 해당 상품 페이지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