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업황 개선 기대감 고조: 삼성전자
01 . 이번주 HOT 종목: 삼성전자 지난주 코스피는 글로벌 주요 증시 대비 아웃퍼폼하는 흐름을 보였다(3/17~21: 코스피 +3.0%, S&P 500 +0.5%, 상해 -1.6%).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가 주간으로 +12.8% 급등한 영향이다[그림 1]. 외국인은 지난해 삼성전자를 10.4조 원 매도한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3월 둘째 주까지 2.6조 원을 매도했다. 하지만 지난주 2.0조 원 순매수로 전환하면서 삼성전자 주가 상승을 주도했다. D램 가격 상승 기대로 반도체 업종 이익 전망이 상향되자 외국인이 삼성전자 순매수에 나선 것이다. DDR4 가격은 재고조정 마무리 단계 돌입으로 상승하고 있고, DDR5 가격도 공급 부족과 중국 클라우드 업체들의 서버용 D램 수요 증가로 상승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 20일 마이크론이 실적 발표에서 고객사 주문량 반등이 D램 평균 판매 가격 상승으로 연결될 것이라고 시사한 점도 반도체 이익 전망에 고무적이다. 02 . 왜 삼성전자 인가? 중국발 수요로 D램 가격 상승 기대감↑ DeepSeek 출현 이후 미국 내에서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대한 회의론이 부각됐다. 반면, 중국 빅테크는 대규모 AI 투자를 속속들이 발표하고 있다. 지난 2월 24일 알리바바가 AI 투자를 위한 Capex 확대를 발표한데 이어, 다른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업체들도 서버용 D램(DDR5) 구매에 동참하고 있다[그림 2].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중국내 스마트폰, 가전 등 교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반기 모바일용 D램(DDR4/LPDDR4(저전력DDR4))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D램 가격 상승을 자극하고 있다. *이구환신 정책: 노후 가전제품을 신제품으로 교체할 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 외국인은 밸류에이션 하단 확인 후 삼성전자를 매집해 나가는 양상을 보여왔는데, 최근 메모리 업황 개선 기대로 밸류에이션 하단을 확인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삼성전자 순매수에 나선 것으로 확인된다[그림 4]. AI 반도체 시장에서 HBM 경쟁력을 확보한 SK하이닉스와 더불어 메모리 업황 개선 기대로 외국인 순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는 삼성전자에 대한 매수 포지션을 확대해 나갈 시점이라고 판단한다. 03 . 삼성전자 & SK하이닉스를 가장 많이 담은 Kodex ETF는? 04 . Kodex 반도체(091160) 알아보기! ※ 합성총보수ㆍ비용 및 총보수는 기준가격에 따라 매일 일할 계산하여 반영되며 증권거래비용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odex IT : 합성총보수 연 0.4643%,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0397% 발생, 위험등급: 2등급 (높은 위험) * Kodex AI반도체 : 합성총보수 연 0.5087%,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059% 발생, 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 Kodex 반도체 : 합성총보수 연 0.4624%, FY2024 기준 증권거래비용 0.0329% 발생, 위험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