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트렌드

새 정부, 새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ETF 3종 소개! 핵심 포트폴리오로 구성

2025.06.24
새 정부, 새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ETF 3종 소개! 핵심 포트폴리오로 구성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투자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 새 정부 정책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삼성 Kodex ETF TOP 3 종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두산에너빌리티를 담은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ETF’

✅ 친환경 정책 수혜, 정부 지원 방향과 일치해요.

✅ 두산에너빌리티 비중 중심의 전략적 구성으로 되어있어요.

✅ 신재생 + 원전 테마를 동시에 반영하였어요.

전세계 탄소중립 트렌드와 새 정부의 ‘에너지믹스’ 정책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프로젝트 설계, 기자재, 서비스등을 제공하는 에너지 솔루션 기업인데요. 주가가 올해 연초 이후 211% 급등하며 대표적인 수혜주로 떠올랐습니다. (Bloomberg, 6/13) 작년 말 기준 시가총액이 코스피 내 37위 기업에 불과했으나 현재 시가총액 10위 기업으로 등극했죠. (Quantiwise, 6/16)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ETF는 원자력,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핵심 기업에 투자하며, 그 중 두산에너빌리티를 가장 높은 비중으로 보유하고 있어요.

#1.png

* 상기 투자전략 및 투자기업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국내 증시의 고배당주를 담은 대표 월배당 ETF, ‘Kodex 고배당 ETF’

✅ 국내 증시의 대표 고배당주만 담은 월배당 ETF에요.

✅ 국내 대형 우량주 + 경기민감 섹터 중심의 집중형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었어요.

✅ 과거의 배당수익률이 아닌 ‘예상 배당수익률’ 기반으로 종목을 선정해요.

연초 이후 코스피는 글로벌 증시 내 괄목할만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데요. 국내 증시의 대표적인 고배당주를 담은 Kodex 고배당 ETF를 주목해보세요.

Kodex 고배당은 시장랠리 구간에서 더 높은 상승 여력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로 최근 재조정되었는데요. 그리고 ‘과거 배당 수익률’이 아닌 ‘미래 배당 수익률’이 높은 대량 우량주를 선별하여 투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png

* 상기 투자전략 및 투자기업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코스피 5000시대, 돈이 몰리는 ‘Kodex 증권 ETF’

✅ 자본시장 활성화 수혜를 직격으로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돼요.

✅ 대형 증권사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로 구성되어 있어요.

✅ 최근 한달 간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ETF 중 하나예요.

신 정부는 코스피 5000의 시대를 선언했습니다. 부동산 대신 증시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부양하는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증권주를 담은 ETF에 대한 관심이 치솟았습니다.

특히 Kodex 증권 ETF는 신정부의 대표 수혜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최근 한달 기준 개인이 746억원을 순매수하며 전체 ETF 중 상위 5위를 기록했습니다 (Fun etf, 5/20~6/19).

#3.png

* 상기 투자전략 및 투자기업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3종 ETF는 모두 새 정부 정책 방향과 시장 흐름을 정조준한 전략형 상품입니다. 삼성 Kodex ETF와 함께한다면, 단기 트렌드가 아닌 구조적 성장에 베팅하는 한발 앞선 투자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ETF 명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 ETF

종목코드

385510

위험 등급

1등급

(매우 높은 위험)

합성총보수

연 0.5591%

직전 회계연도 기준 증거거래비용 0.0954%

ETF 명

Kodex 고배당 ETF

종목코드

279530

위험 등급

3등급

(다소 높은 위험)

합성총보수

연 0.3615%

직전 회계연도 기준 증거거래비용 0.1514%

ETF 명

Kodex 증권 ETF

종목코드

102970

위험 등급

2등급

(높은 위험)

합성총보수

연 0.450%

직전 회계연도 기준 증거거래비용 0.0268%

유의사항.png